김은설(b.1988)은 듣기와 감정, 기억을 깊이 들여다보는 작가다. 작가는 보청기를 사용하지만,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는 보통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낀다.
〈흐려지는 소리, 남겨진 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 소리가 몸에 남기는 감각의 흔적을 다룬다. 작가는 이러한 경험을 반투명한 벽 뒤에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영상으로 나타낸다. 영상에서는 흐릿한 목소리가 나온다.
또렷하지 않은 감각 속에서 남겨진 소리의 흔적을 느낀다. 완벽하지 않은 언어를 더듬어 뜻을 생각하게 한다. 가까이 다가가면 소리가 진동으로 피부에 닿는다. 이 떨림은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흐려지는 소리, 남겨진 소리
2025, 모니터, 미디어 플레이어, 진동 스피커, 앰프, 폴리카보네이트, 가변 크기.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작가 소장. ⓒ 김은설.
김은설
김은설은 보청기를 사용하지만 주로 시각과 다른 감각으로 소통한다. ‘듣는다’라는 감각과 감정, 기억을 세밀하게 탐구하는 작업을 한다. 주요 전시로는 《중간언어》(탈영역우정국, 2023), 《덤불숲》(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20), 《여기 닿은 노래》(아르코미술관, 2024), 《다양한 몸, 살아가는 몸》(파워플랜트, 2023)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므브프 프로젝트〉를 비롯한 워크숍과 퍼포먼스에 참여하고 있다.
Kim Eunseol (b. 1988) explores the entanglement of listening, emotion, and memory. While she uses a hearing aid, her primary mode of communication relies on visual cues and embodied perception.
Fading Sound, Lingering Sound reflects on the sensory impressions that faint or inaccessible sounds leave on the body. The work presents an array of videos obscured behind translucent surfaces, where indistinct voices flicker in and out of perception.
The piece invites viewers to consider how meaning emerges from partial comprehension and how language persists even in fragments. As one draws near, sound takes the form of vibration against the skin. What does this vibration convey?
Fading Sound, Lingering Sound
2025, monitors, media player, vibration speakers, amplifier, polycarbonate, dimensions variable. Commissioned by MMCA. Courtesy of the artist. ⓒ Kim Eunseol.
Kim Eunseol
Eunseol Kim, who uses a hearing aid, primarily communicates through visual and other sensory means. Her practice explores the sensations, emotions, and memories of hearing. She has exhibited in Intermediate Language (Post Territory Ujeongguk, 2023), Thicket (Cheongju Art Studio, 2020), Asynchronous Singing (Arko Art Center, 2024), and Living the Bodies (Power Plant 68 Building, 2023). Kim also takes part in workshops and performances, including Meubpeu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