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옥 Youngok Kim
노년 되기 Becoming an Elder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두 사람이 앉아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백발이다. 둘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두 사람은 즐거운 표정으로 웃고 있다.
노년 되기 Becoming an Elder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두 사람이 미술관 한쪽 벽에 등을 기대고 서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백발이다. 둘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두 사람은 미술관 마당을 거닐고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백발이고 선글라스를 꼈다. 둘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백발의 노인이 뒤를 돌아보며 팔을 벌려 휠체어를 타고 오는 사람을 인도하고 있다.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세 사람이 화면을 보고 활짝 웃고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중년 여성이다.마지막 사람은 백발이다.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두 사람이 미술관 앞 마당에 서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백발이다. 둘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작가,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작품명,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부문, 퍼포먼스. 제작년도,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이 함께 등장하는 공연을 위한 홍보 사진이다. 두 사람이 미술관 앞 마당에 서 있다. 한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한 사람은 백발이다. 둘 모두 검은 드레스를 입었다.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김영옥(b.1958)은 여성학자이자 활동가다.

여성과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연구한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며 겪는 어려움을 바꾸기 위해 활동한다. 나이 들고, 아프고, 돌봄받고 돌보며, 죽는 삶의 과정을 여성주의 인권1여성주의 인권: 여성이 차별받지 않고, 자유롭고 존중받을 수 있는 권리.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노년 되기〉는 늙지 않는 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에서 자유롭게 나이 드는 방법을 나눈다. ‘나이 든다는 것’이 무엇인지 배우고, 취약2취약: 몸과 마음이 약한 상태.한 몸이 가진 힘을 이야기한다.

조미경(b.1975)과 이진희(b.1977)는 '장애여성공감'에서 활동하는 배우이자 활동가다.

〈파도: 나이 듦과 장애의 교차적3교차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거나, 한 곳에서 마주치는 것. 만남〉은 노인과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을 같이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공연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몸이 약해진다. 안경을 쓰고, 틀니를 끼고, 보청기나 휠체어, 산소호흡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함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도 변한다. 장애인은 이러한 변화를 더 일찍, 더 많이 경험한다.

공연은 나이 든 몸과 장애가 있는 몸의 비슷한 점을 보여준다. 몸이 약해지고 일을 하지 못해도, 서로를 돌보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고 이야기한다.


김영옥

노년 되기

2025, 강연.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 김영옥.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파도: 나이듦과 장애의 교차적 만남

2025, 퍼포먼스. 국립현대미술관 제작지원. ⓒ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 출연, 구성: 김영옥, 조미경, 이진희
  • 연출: 이진희
  • 영상연출: 임흥순
  • 영상 프로덕션: 반달
  • 사진: 노대겸
  • 음악: 이주영
  • 코딩: 부깽
  • 분장: 이소연
  • 진행: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김영옥

1958년 서울 출생, 거주 및 활동

김영옥은 벤야민과 카프카의 텍스트를 읽으며 근대와 탈근대의 경계를 사유했고, 여성주의 인식론을 토대로 문화예술 텍스트의 생산과 향유의 장에 개입해 왔다. ‘이주여성인권포럼’에서 지구지역시대 아시아 여성들의 이주 실천과 시민권을 연구했으며, ‘인권연구소 창’의 연구 활동가로 인권 현장의 의제들을 젠더 관점에서 성찰해 왔다.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의 상임대표로 노년과 질병, 아픈 몸, 돌봄, 죽음 등에 대한 여성주의 담론화와 이론화를 모색해 왔다. 저서로 『흰머리 휘날리며-예순 이후 페미니즘』(교양인, 2021), 『이미지 페미니즘』(미디어일다, 2018) 등이 있으며, 공저로 『돌봄과 인권』(코난북스, 2022)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질병, 돌봄, 노년에 대한 다른 이야기』(봄날의책, 2020) 등을 집필했다.

조미경

1975년 서울 출생, 거주 및 활동

장애여성공감의 활동가다. 골형성부전증 장애여성으로 살아오며 반고리관 뼈가 약해져 청각장애가 생겼고, 40대부터 틀니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21년 뇌출혈 이후 시각, 청각, 실어증으로 인한 언어장애를 얻어 장애가 진화하는 과정을 겪어가고 있다. 장애, 탈시설, 의존과 독립을 젠더적 관점으로 해석하며 고립된 이들을 연결할 실마리로 돌봄과 연대를 고민한다. 타인의 경험과 말을 온몸으로 흡수하고 반응하면서 뒤늦게 연기에 소질이 있음을 알게 됐다. 온 삶을 무대 삼아 살아가기로 했다. 공저로 『어쩌면 이상한 몸』(2018), 『배틀그라운드』(2018), 『시설사회』(2020)를 집필했다.

이진희

1977년 예산 출생, 서울 거주 및 활동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2003년부터 극단 춤추는허리 장애여성들과 〈불만폭주라디오〉(2018), 〈빛나는〉(2019), 〈얼음땡〉(2023) 등 연극을 만들었다. 장애여성 ‘몸들’을 만나 스스로와 관계 맺는 법을 깨달았고, 장애여성 배우들과 무대 위에서 함께 숨쉬는 법을 익혔다. 장애여성 운동 현장에서 몸을 쓰며 연극하는 법을 배웠고, 소수자 운동과의 연결에서 이야기를 엮어가는 연습을 계속하고 있다.무대에 서는 게 이제서야 즐거운 배우 지망생. 스탠드업 코미디로 너를 웃기고 싶다.

Kim Youngok (b. 1958) is a feminist scholar and activist who researches the lives of women and marginalized communities. Her work reflects on aging, illness, care, and death through the lens of feminist human rights.1Feminism: a movement to end sexism and the exploitation and oppression based on it.

Becoming an Elder shares ways of aging freely in a society that values anti-aging. It invites us to learn what it means to grow old and to recognize the strength within vulnerable2Vulnerable: physically and emotionally fragile, easily affected. bodies.

Cho Mikyeong (b.1975) and Lee Jinhee (b.1977) are actresses and activists with Disabled Women’s Empathy.

Wave: The Intersectional3Intersectional: Refers to things crossing paths or meeting at a single point. Encounter of Aging and Disability is a performance that explores the intertwined challenges faced by the elderly and disabled.

As people age, their bodies weaken, prompting the use of glasses, dentures, hearing aids, wheelchairs, or oxygen devices. Alongside these physical changes, their social relationships also transform. Disabled individuals often encounter these shifts earlier and with greater intensity.

This work draws attention to the commonalities between aging and disabled bodies, advocating for the creation of a society where, even in the face of physical decline and the inability to work, individuals can continue to care for one another and live connected together.


Kim Youngok

Becoming an Elder

2025, lecture. Commissioned by MMCA. ⓒ Kim Youngok.


Kim Youngok, Cho Mikyeong, Lee Jinhee

Waves: The Intersectional Encounters of Aging and Disability

2025, live performance. Commissioned by MMCA. ⓒ Kim Youngok, Cho Mikyeong, Lee Jinhee.

  • Cast and Concept: Kim Youngok, Cho Mikyeong, Lee Jinhee
  • Direction:Lee Jinhee
  • Video Direction: IM Heung-soon
  • Video Production: BANDAL Doc.
  • Photography: RHO Daekyum
  • Music: LEE Jooyoung
  • Coding: Bouquins
  • Makeup: LEE Soyeon
  • Production Support: Activists from Women with Disabilities Empathy

Kim Youngok

Born in Seoul in 1958, lives and works in Seoul

Kim Youngok has reflected on the boundaries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by reading texts by Benjamin and Kafka and has intervened 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cultural texts based on feminist epistemology. She has researched the migration and citizenship of Asian women in the glo/calization era at the Forum for Migrant Women's Human Rights. At the Human Rights Research Institute Chang. She has rethought human rights issues through a gender lens. As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Life Culture Research Institute Okeesalon, she has explored feminist discourse and theorizing on aging, illness, and body in pain, care, and death. She is the author of With silver hair flying, Feminism after Sixty (2021), Image Feminism (2018), and co-author of Care and Human Rights (2022) and To the Bodies at Three in the Morning: Other Stories of Illness, Care, and Old Age (2020).

Cho Mikyeong

Born in Seoul in 1975, lives and works in Seoul

Cho Mikyeong is an activist at Women with Disabilities Empathy. Born with osteogenesis imperfecta, she developed hearing loss due to fragile semicircular canal bones and began using dentures in her 40s. After a cerebral hemorrhage in 2021, she acquired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 as well as speech disorder due to aphasia, experiencing disability as an evolving state. She interprets disability, deinstitutionalization, dependence, and autonomy through the lens of gender and contemplates care and solidarity as ways to connect isolated lives. She discovered a late-found gift for acting, absorbing and responding to others’ words and experiences with her whole body—and has thus decided to make her whole life a stage. She co-authored A Body Perhaps Strange (2018), The Battleground (2018), and The Institutionalized Society (2020).

Lee Jinhee

Born in Yesan in 1977, lives and works in Seoul

Lee Jinhee is an activist at Women with Disabilities Empathy. They have produced several plays since 2003, including The Discontent Radio (2018), Shining (2019), and Freeze Tag (2023). They learned how to relate to themself through their encounters with disabled women’s bodies and trained themself to breathe together with disabled women actors on stage. Having learned to use the body in theater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disability rights movement, they continue to practice weaving stories through solidarity with other minority movements. An aspiring actor who has finally learned to enjoy the stage, they want to make you laugh with their stand-up come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