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
Looking After Each Other
2025.5.16. – 7.2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 Seoul
EN

전시 소개

우리의 몸은 서로 다르다. 다른 몸으로 미술관에 왔다. 다양한 몸이 모이는 미술관에서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만날 수 있을까?

《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1취약함: 몸과 마음이 약한 상태.이 만날 때》는 다양한 몸이 주제인 전시로,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첫 번째, 〈기울인 몸들〉은 ‘약한 몸’이라는 편견2편견: 제대로 알기 전에 마음대로 하는 생각.에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2. 두 번째, 〈살피는 우리〉는 미술, 건축, 디자인3디자인: 물건이나 공간을 꾸미거나 편리하게 만드는 일. 분야에서 몸을 환영하는 방법을 고민한다.
  3. 세 번째, 〈다른 몸과 마주보기〉는 서로 다른 몸이 함께하는 공연과 모임을 선보인다.

전시는 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다양한 몸과 살아가고, 기댈 수 있는 서로가 되는 방법을 전한다.

접근성 안내

Introduction

Our bodies are all different. We come to the museum with different bodies. How might we come together in a museum where different bodies gather?

Looking After Each Other is an exhibition that celebrates body diversity and reimagines vulnerability1Vulnerability: Being more open to harm, physically or emotionally. as a form of connection and strength. It unfolds in three parts:

  1. First, “Inclining Bodies” presents stories of those who confront and resist the stigma2Stigma: An unfair judgement made before truly knowing someone. attached to perceived bodily “weakness.”
  2. Second, “Odd Communities” explores how art, architecture and design3Design: Planning things to be useful, comfortable, or nice. can center non-normative bodies.
  3. Third, “When Different Bodies Meet” stages performances and gatherings where difference becomes the ground for new forms of collectivity.

This exhibition is an invitation to see bodies as they are, to live alongside difference, and to look after one another.

Accessibility

섹션 1 Section 1
기울인 몸들 Inclining Bodies

어떤 몸은 다른 몸보다 약하다고 여겨진다. 나이 든 몸, 아픈 몸, 장애가 있는 몸을 떠올릴 수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약하다고 할 수 있을까? 이 공간에서는 다양한 몸을 있는 그대로 이야기한다. 몸이 가진 힘을 보여준다.

Some bodies are perceived as “weaker”—often those that are aging, ill, or disabled. But is weakness truly inherent, or socially defined? This section reclaims bodily difference as a source of strength.

섹션 2 Section 2
살피는 우리 Odd Communities

모든 몸은 환영받아야 한다. 이 공간에서는 서로 다른 몸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하는 방법을 고민한다. 말과 몸짓, 건물, 도시, 미술관이 어떻게 변할 수 있을지 상상한다. 이런 변화는 어느 한 명이 아닌 모두의 삶을 좋게 바꾼다.

Everybody deserves to feel welcome. This section considers how people with diverse embodiments might inhabit the world together, through transformations in language, gesture, architecture, urban form, and the institutional ethos of the museum. These changes don’t just help a few; they make life better for everyone.

섹션 3 Section 3
다른 몸과 마주보기 When Different Bodies Meet

장애인, 노인, 이주민1이주민: 고향을 떠나 다른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 등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강연, 공연, 모임이 이루어진다. 미술관은 이곳에 모인 사람들에게 누구인지, 몇 살인지, 어디에 사는지 묻지 않는다. 다양한 몸은 사각형 무대에 둘러앉는다. 몸과 몸이 이어지는 감각을 느껴본다.

Lectures, performances, and gatherings bring together a multiplicity of participants—people with disabilities, older adults, migrants,1Migrants: People who leave their home to live in another place. and others. The museum does not inquire into their identities, ages, or places of origin. Around a shared rectangular stage, diverse bodies assemble. Here, one experiences the quiet force of embodied connection.

Texts

전시를 만든 사람들 Credits

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

2025년 5월 16일 – 7월 20일
3, 4전시실 및 서울박스

Looking After Each Other

May 16, 2025 - July 20, 2025
Gallery 3, 4, and Seoul Box
  • 관장: 김성희
  • 학예연구실장: 김인혜
  • 전시과장: 송수정
  • 학예연구관: 박수진
  • Director: Kim Sunghee
  • Chief Curator: Kim Inhye
  • Director of Exhibition Division: Song Sujong
  • Senior Curator: Park Soojin
  • 전시기획: 이지회, 이주연
  • 전시기획보조: 오주영, 김효연
  • 글: 김지우(구르님), 민구홍, 안희제, 이주연, 이지회, 이충현, 케이트린 린치
  • 번역: 김현경, 이재희, 콜린 모엣
  • 교정교열: 채지선
  • 사진: 홍철기
  • 영상: 변현준
  • 웹사이트: 민구홍 매뉴팩처링
  • Curator: Lee Jihoi, Lee Jooyeon
  • Curatorial Assistant: Oh Jooyoung, Kim Hyoyeon
  • Contributor: Kim Jiwoo, Min Guhong, Ahn Heejeh, Lee Jooyeon, Lee Jihoi, Chung hyun Lee, Caitrin Lynch
  • Translation: Kim Hyunkyung, Yi Jaehee, Colin Mouat
  • Proofreading & Copyediting: Chae Jisun
  • Photography: Hong Cheolki
  • Film: Byeon Hyeon Jun
  • Website: Min Guhong Manufacturing
  • 공간 조성 및 운영 총괄: 김용주
  • 전시 디자인: 인테그
  • 그래픽 디자인: 이건정
  • 공간 조성: 윤해리
  • 전시 운영: 한지영, 이경진
  • Design Management: Kim Yong-ju
  • Exhibition Design: INTG
  • Graphic Design: Lee Gunjung
  • Exhibition Construction: Yun Haeri
  • Technical Coordination: Han Jiyoung, Lee Kyungjin
  • 작품 보존: 범대건, 이남이, 조인애, 윤보경, 한예빈, 문희경, 임소정, 안하성, 김보경, 이채연
  • 미술관 교육: 정상연, 조현지
  • 홍보·마케팅: 이성희, 윤승연, 채지연, 이효진, 김홍조, 김민주, 허영, 기성미, 신나래, 이승아, 이미지, 김보윤
  • 고객지원: 이성희, 조규일, 이은수, 오경옥, 박소라, 황채이, 정수안, 주다란, 추헌철, 연지은
  • 접근성 페이지 개발: 정지은, 강경훈
  • 전시 후원 담당: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재단
  • Conservation: Beom Daegeon, Lee Nami, Cho Inae, Yoon Bokyoung, Han Yebin, Moon Heekyoung, Lim Sojung, Ahn Hasung, Kim Bokyoung, Lee Chaeyeon
  • Education: Chung Sang-yeon, Cho Hyunji
  • Public Communication and Marketing: Lee Sunghee, Yun Tiffany, Chae Jiyeon, Lee Hyojin, Kim Hongjo, Kim Minjoo, Heo Young, Ki Sungmi, Shin Narae, Lee Seunga, Lee Meejee, Kim Boyoon
  • Customer Service: Lee Sunghee, Cho Kwiil, Lee Eunsu, Oh Kyungok, Park Sora, Hwang Chaeyi, Jeong Suan, Ju Daran, Chu Hunchul, Yeon Jieun
  • Accessibility Page Development: Jung Jiyeon, Kang Kyounghun
  • Exhibition Sponsorship Managemen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oundation, Korea
  • 접근성 기획 및 운영: 조금다른 주식회사
  • 총괄: 이충현
  • 쉬운 글: 최서우
  • 쉬운 글 자문: 송현주, 장예원, 정나래
  • 음성해설: 조예진, 장근영, 김시락, 배소현, 이인혜, 편도환
  • 수어통역: 백수진, 김보석, 남진영
  • 현장 운영: 조예진, 전형민, 한서연, 최시은
  • 영상: 변현준
  • 녹음: 구자성(사운드매니아 스튜디오)
  • 목소리(접근성 안내 영상): 이청
  • Accessibility Management: A Little Different.inc
  • Manager: Lee Chunghyun
  • Easy-to-Read Text: Choi Seowoo
  • Easy-to-Read Text Consultant: Song Hyeonju, Jang Yewon, Jung Narae
  • Audio Description: Cho Yejin, Jang Geunyoung, Kim Sirak, Bae Sohyun, Lee Inhye, Pyeon Dohwan
  • Sign Language Interpreter: Baek Sujin, Kim Boseok, Nam Jinyoung
  • Staff: Cho Yejin, Jeon Hyeongmin, Han Seo-yeon, Choi Sieun
  • Video Production: Byeon Hyeon Jun
  • Sound Recording: Koo Jaseong(Sound Mania Studio)
  • Voice (Accessibility Guide Video): Lee Cheong
  • 후원: 진진인터네셔널
  • 협찬: LG OLED, 이케아 코리아
  • 감사한 분들: 국립서울농학교, 김미정, 김윤영, 김정임, 니콘 코리아, 박승희, 서울노인복지센터, 정지윤, 진은선, 최태산
  • Sponsored by: JIN JIN INC.
  • Supported by: LG OLED, IKEA Korea
  • Special Thanks to: Choi Taesan, Jin Eunsun, Jung Jiyoon, Kim Jeong-Im, Kim Mi Jung, Kim Yoon Young, Nikon Imaging Korea, Park Seung Hee,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Deaf, Senior Welfare Center of Seoul

본 누리집에 게시된 글과 사진 및 도판의 저작권은 국립현대미술관, 작가 및 해당 저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무단 전재, 복제, 변형, 송신을 금합니다.

No part of this website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including photocopying, recording, or any other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out prior permission in writing from prospective copyright holders.